티스토리 뷰
핼러윈 데이에 대한 문화와 유래를 알아보려고 한다.
핼러윈은 Halloween은 All, Hallows, Eve를 축약한 단어이다.
그리스도교에서 천국에 있는 성인들을 달래기 위한 축일인 모든 성인들의 대축일 또는 만성절 11월 1일로 하는 것에 바로 전날인 매년 10월 31일에 귀신이나 주술 같은 마법을 연관시켜 기원된 것이며 영미권에서 축제를 여는 행사이다.
현대 우리나라에서는 이행사에 대한 깊은 의미보다는 코스프레 파티 축제처럼 즐기며 상업적인 기념일 같은 성격도 있다.
기원은 11월 1일인 만성절이라 부르는 켈트족의 주술 같은 의미인 축일이고 가톨릭에서는 성인들을 위한 대축일이라고 한다.
가톨릭에서는 가장 모범적인 교회의 성인에게 축일을 부여했고,
축일은 성인이 죽게 된 날인데 그날은 성인이 천상에서 다시 태어날 날이라고 여겨졌다고 한다.
이 핼러윈 대해 가장 멀리 퍼진 기원에 대한 설은 고대의 켈트족이 죽음과 그들의 영혼을 기리기 위한 서우인 Samhain 축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은 영혼을 달랜다는 과정으로 악령들을 쫓아내기 위해 많은 음식을 준비하여 죽음의 신에게 숭배를 하듯 했다고 한다.
이때 악령들이 사람들을 해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분장을 하게 했고, 겉모습을 귀신처럼 분장하게 해서 악령들을 헷갈리게 만들기 위한 분장술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와 수많은 영미권에서 연례행사처럼 축제를 벌인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서는 핼러윈이 특별한 공휴일이 아니며 이 핼러윈 파티 같은 모습은 미국에서 형성된 것이고, 아일랜드계 이민자를 받아들여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점점 퍼지면서 상업적 놀이처럼 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것이다.
핼러윈을 기념하긴 하지만 공휴일로 지정하지 않은 상업적 파티 같은 개념이 강하다.
현대에는 핼러윈과 관계없는 복장도 많이 착용하는데 동물, 간호사, 천사, 영화 주인 복장 등등 다양한 분장을 하며 코스튬 파티 분위기로 즐기는 추세이다.
핼러윈 기념일에 아이들은 악령 분장이나 옷을 입고 이웃집을 돌며
'Trick or Treat'이라고 외치고 다닌다. 아이들을 맞이하는 집들도 핼러윈을 상징하는 호박 괴물 등을 집 앞에 내놓고 아이들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 아이들이 오면 사탕을 전해주는 것이 전통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초등학생 나이 정도까지는 사탕을 받으러 다니지만 간혹 고등학생들도 사탕이 먹고 싶으면 받으러 가는 경우도 있다.